분류 전체보기14 베트남 커피와 24시간 카페 베트남 비자 베트남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난 8월 15일부터 체류 기간을 대폭 늘린 새 비자 정책을 시행했다. 전자비자(E비자)는 기존 30일에서 90일로 연장했고, 복수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 무비자 체류 기간은 15일에서 45일로 연장했다. 베트남으로 향하는 한국인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더 잦아질 거란 뜻이다. 이를 반영하기라도 하듯 지난달보다 더 자주 한국인 관광객들이 보인다. 전에는 핑크 성당이나 벤탄 시장, 사이공스퀘어, 호치민광장 정도에 가야 보이던 한국인들이 숙소 근처 약국에서 연고를 구매하거나 에그커피를 마시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더 많은 한국인들을 호치민 시내에서 만나게 될 것 같다. 베트남 커피 한국에 들어가는 커피의 대부분은 베트남에서 수출되는 .. 2023. 8. 21. 베트남 여행 추천 선물은 뭐가 있을까? 베트남 여행 추천 선물은 뭐가 있을까? 베트남에 오는 많은 관광객들이 한국에 돌아가 지인에게 주기 위한 선물을 산다. 처음으로 베트남에 왔을 때는 커피가 유명하다는 막연한 생각에 마트에서 커피만 잔뜩 사서 돌아간 기억이 난다. 그러나 이곳에서 살다 보니 사람들이 많이 사는 선물들을 좀 알게 되어서 소개하려고 한다. 베트남 추천 선물 1 마트에서 값싸게 살 수 있는 선물로 마른 과일이 있다. 많은 브랜드가 있는데 맛도 괜찮고 가격도 저렴한 ohla의 말린 과일을 추천한다. 망고, 오렌지, 딸기, 파인애플 등 종류가 많고 무엇보다 45,800동(한국 돈 약 2,500원)으로 가격이 착하다. 한국에서는 면세점에서 사면 저렴한 편이지만 베트남에서는 면세점에서의 가격이 사악하다. 그러니 ‘면세점에 가서 사지 뭐’.. 2023. 8. 8. 박사학위 꼭 따야 할까? 박사학위가 꼭 있어야 할까?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데 꼭 박사학위가 있어야 할까? 전혀 그렇지 않다. 어학당에서 가르치려면 석사학위가 있으면서 한국어교원자격증이 있으면 된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건 학위가 아니라 교사의 실력과 경험치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영어나 제2외국어를 할 수 있다면 한국어 교사 생활을 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그런데 만약 대학에서 교수의 직위를 가지고 싶다면 박사학위가 있어야 한다. 최근 베트남에서도 대학의 글로벌화, 선진화, 승격화를 진행하면서 학내 교수들에게 박사학위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는 석사학위만 있어도 교수 임용이 가능했는데 이제는 박사학위가 없으면 실력과 성과가 뛰어나도 승진에서 밀리게 되고 중요 업무에서 배제되기도 한다. 국내외 연구사업을 신청할 때.. 2023. 8. 7. 베트남어 실력 빠르게 올리는 방법 베트남어, 배우기 쉬울까? 베트남어는 성조가 6개이다. 중국에서 유학할 때도 성조 때문에 고생을 했는데, 성조가 4개인 중국어와 비교해 베트남어는 2개나 더 많은 것이다. ‘안녕하세요’ 뜻인 ‘xin chào(신 자오)’조차 모르고 베트남에 들어와 자음, 모음부터 익히기 시작해 이제는 제법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카페에 들어가 원하는 음료를 주문할 정도가 되었다. 엊그제 있었던 말하기 시험에서는 20점 만점에 19점을 받아 스스로가 꽤 기특했다.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비교해도 배우기 까다로운 언어이다. 북부와 남부의 발음이 달라 같은 글자를 놓고도 소리와 성조가 달라지는데 남부에서는 6개의 성조 중 1개는 없이 5개만 반영해서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란다.(베트남어 선생님이 해 준 얘기다) 어휘에서도 북부.. 2023. 8.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