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치2 스피치 1등들의 특징 호치민시 한국어말하기대회 대학부 한국어 말하기 대회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대학부에 앞서 중고등부 예선전이 오늘 있다고 해서 아침 일찍 대회가 열리는 호치민 한국국제학교에 갔다. 그랩 아저씨는 나를 학교 앞에 내려주고는 “Hàn quốc(한국) trường học(학교)” 하면서 마구마구 손가락 따봉을 해 주었지만 나는 어색하게 웃었다. ‘아저씨, 이 학교 제 학교 아니에요 :-(’ 같은 학과 교수님들도 때마침 도착해서 가벼운 눈인사를 나누고 함께 대회장에 들어갔다. 동료 교수님들은 지도 학생이 있거나 심사위원으로 참가를 한 것인데, 나는 한 달 뒤 내 지도 학생이 발표할 무대를 미리 보고 무대 동선과 심사위원과의 구도, 무대를 얼마나 넓게 쓸 수 있는지, 얼마만큼 자유롭게 퍼포먼스를 할 수 있는지 .. 2023. 7. 22. 완벽한 스피치를 위해 중요한 한 가지(part1) 누워서 연습하세요 “연습할 때 누워서 해 보세요. 누우면 소리가 잘 안 나오는데, 누워서 발표해도 서서 할 때처럼 똑같은 목소리가 나올 수 있게 연습해 보세요. 어느 날부터 목소리와 속도에 여유가 생길 거예요.” 말하기 전국 대회를 앞둔 학생을 지도하면서, 중요한 스피치를 위해 내가 스스로를 훈련시켰던 장면들을 매일 복기하고 있다. 발표 연습을 시작하기 전, 발표할 무대와 청중과 심사위원들을 상상했고, 하게 될 손동작과 몸의 방향, 시선 등을 이미지로 떠올렸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스스로를 믿는 마음 “본인은 이미 전국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믿으세요. 발표 연습하기 전에 잠시 눈을 감고 상상하세요. 앞에 청중과 심사위원이 있고, 본인이 무대 위에 올라 있다고 생각하세요... 2023. 7. 8. 이전 1 다음